요임금과순임금 #요임금일화 #도복격양 #태평성대1 논어성공학 헌문 44장 태평성대 요임금과 순임금 요임금과 순임금 요임금 일화 도복격양 태평성대9월 2일 논어성공학 헌문 44장헌문은 인를 실천하고 염치를 알아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들을 잘 살게하는 정치가들의 도리를 밝힌 장이다. 윗사람이 예에 따라 바르게 정치를 하면, 백성들은 강제적인 수단을 동원하지 않아도 스스로 따라와 나라의 기강이 바로 잡힌다는 뜻이다. 子(아들 자, 공자의 존칭) 曰(가로 왈)자왈공자께서 말씀하시길 上(위 상)好(좋아할 호)禮(예도 례)則(곧 즉)民(백성 민)易(쉬울 이)使(부릴 사)也(어조사 야)니라상호례즉민이사야니라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백성들을 부리기가 쉬우니라. 요임금과 순임금요임금이상적인 군주의 표상으로 요임금은 고대 신화시대에 중국을 다스린 왕이다. 덕과 예를 베풀어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며, 백성들의 삶.. 2024. 9.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