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성공학

논어성공학 헌문 44장 태평성대 요임금과 순임금

by 이토비 2024. 9. 2.

요임금과 순임금 요임금 일화 도복격양 태평성대

92일 논어성공학 헌문 44

헌문은 인를 실천하고 염치를 알아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들을 잘 살게하는 정치가들의 도리를 밝힌 장이다. 윗사람이 예에 따라 바르게 정치를 하면, 백성들은 강제적인 수단을 동원하지 않아도 스스로 따라와 나라의 기강이 바로 잡힌다는 뜻이다.

 

(아들 자, 공자의 존칭) (가로 왈)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위 상)(좋아할 호)(예도 례)(곧 즉)(백성 민)(쉬울 이)使(부릴 사)(어조사 야)니라

상호례즉민이사야니라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예를 좋아하면 백성들을 부리기가 쉬우니라.

 

요임금과 순임금

요임금

이상적인 군주의 표상으로 요임금은 고대 신화시대에 중국을 다스린 왕이다. 덕과 예를 베풀어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며, 백성들의 삶을 직접 살피기 위해 궁궐 밖을 자주 돌아다녔다. 백성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정책에 반영하였며, 요임금은 인재를 등용하는 데에도 적극적이었다. 자신의 아들이 아닌 순임금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순임금

요임금의 뒤를 이어 고대 중국을 다스린 왕으로, 요임금의 정책을 계승하여 나라를 더욱 발전시켰다. 그는 백성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해 농업을 발전시키고, 교육을 장려하였다. 순임금은 요임금과 마찬가지로 인재를 등용하는 데에 적극적이었으며, 자신의 아들이 아닌 우임금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우임금은 하나라의 2대 왕으로, 순임금이 죽은 후 부족 연맹의 수령이 되어 중국 전역의 홍수를 막고 농업을 발전시켰다. 우임금은 아버지인 우왕(禹王)이 추진한 치수 사업을 이어받아 완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인 하나라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요순시대는 이상적인 통치의 시대로 덕과 예로 정치를 하였고, 혈통이 아닌 능력에 따라 왕위가 계승되는 선양의 사례를 남겼다. 두 명의 현명한 군주는 태평성대의 표본으로 불린다.

 

요임금 일화 도복격양 태평성대

요임금이 백성들의 삶을 직접 살피기 위해 궁궐 밖 민정 시찰을 나가 어느 네거리를 지날 때였다. 어린 아이들이 서로 손을 잡고 이런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우리가 이처럼 잘 살아가는 것은 모두가 임금님의 지극한 덕이라네. 우리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지만 임금님이 정하신 대로 살아가면 된다네.‘

어린이들의 순진한 노랫소리에 요임금은 기분이 매우 좋았다. 마을 끝까지 걸어가니 한 노인이 뭔가를 먹으면서 부른 배를 두드리며 고복격양(鼓腹擊壤 부른 배를 두두리며 말발굽 모양의 나무나 돌을 멀리서 던져 넘어트리는 놀이의 일종) 놀이를 하는 것을 보았다.

그 노인이 흥겹게 부르는 노래를 들어보니,

해가 뜨면 자식들과 함께 들에 나가 밭을 갈고, 해가 지면 들어와 쉬며, 밭은 갈아 농사 지어 먹고 살며, 샘을 파서 물을 마시니, 임금님의 힘이 나에게 무슨 상관인가?’ 라는 노래였다.

백발노인의 고복격양에 요임금은 정말 기뻤다. 정치가 잘 되어 백성들이 배불리 먹고 여유를 즐기는 모습을 직접 확인한 요 임금은 흐뭇한 마음으로 궁으로 돌아 왔다.

백성들이 아무 불만없이 배를 두드리고 발을 구르며 흥겨워하고, 정치의 힘 따위는 완전히 잊고 있으니 그야말로 정치가 잘 되어 태평성대의 확실하고 큰 증거이기 때문이다.

뤼튼 이미지 추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