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성공학

논어성공학 팔일 3장 인(仁)은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덕목 안회

by 이토비 2024. 11. 14.

논어성공학 팔일 3

()은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사람으로 태어나 어질지 못하다면 예의와 음악 같은 형식은 아무 소용이 없다.

어질지 못하면 인간의 탈을 쓴 동물과 다를 바가 없다.

 

어질 인()은 사람들 간의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드러내는 마음가짐을 의미한다.

어진 마음이 없다면 예의를 갖추고 풍류를 즐기는 인()을 드러내는 모든 형식이 아무 의미가 없다. ()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뤼튼 이미지 추출

 

(아들 자, 공자의 존칭) (가로 왈)

자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인이불인이면

(사람 인) (말이을 이) (아닐 불) (어질 인)이면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여례하하며

(같을 여) (예도 례) (어찌 하)하며

예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인이불인이면

(사람 인) (말이을 이) (아닐 불) (어질 인)이면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여악하리오

(같을 여) (풍류 악) (어찌 하)리오

풍류를 안들 무슨 의미가 있으리오

 

 

안회(顔回, 기원전 521 기원전 490)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로, 자는 자연(子淵)이며, 학덕이 높아 자()를 따서 안연(顔淵), 안자연(顔子淵)이라고도 부른다. 자기를 누루고 예()로 돌아가는 것을 극기복례(克己復禮)이며 이것이 곧 인()이라는 공자의 가르침을 굳게 지킨 제자였다.

뤼튼 이미지 추출

 

안회는 빈곤한 환경 속에서도 도를 닦는 데 몰두했으며, 공자의 가르침을 진심으로 받아들여 실천했다. 그의 겸손하고 성실한 태도는 공자에게 큰 감명을 주었고, 공자는 안회를 가장 훌륭한 제자로 여겼다. 학덕이 높고 자질이 뛰어나 공자의 가장 촉망받는 제자였으나 공자보다 먼저 죽었다. 빈곤하고 불우하였으나 개의치 않고 성내거나 잘못한 일이 없으므로, 공자 다음가는 성인으로 받들어져 안자(顔子)라고 높여 부르기도 한다.

사마천은 공자의 삼천제자 가운데 특별히 뛰어났던 72명을 고르고 안회를 그 첫머리에 올려놓았다.

 

안회의 일화

안회가 살았던 곳은 성 밖으로 어머니는 삯바누질을 나가면서 냄비에 국을 끓여 놓았다. 안회는 국에 밥을 말아 먹고 배가 차지 않으면 돌아오는 길에 표주박으로 근처에 '누항정'이라는 우물을 퍼서 먹었다. 이 우물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

안회는 이 우물에서 물을 떠 마시곤 했는데, 그의 덕행이 매우 높아 우물물이 마르지 않고 항상 맑았다고 한다.

이에 사람들은 안회의 덕을 기려 누항정 일단사 일표음이라는 말을 남겼다.

, “누항정에 한 번 왔다가 한 모금의 물을 마시면 한 번에 병이 나았다는 뜻으로, 안회의 덕이 물까지 정화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뤼튼 이미지 추출

제미나이 문서 추출

네이버 검색 문서 추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