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성공학

논어성공학 요왈 3장 맹자의 천명

이토비 2024. 11. 24. 17:43

논어성공학 요왈 3

맹자의 천명과 맹모삼천 일화

천명을 알고 예를 갖추고 말을 알아야 한다.

나의 천명은 무엇일까?

모르면 업보고 알면 천명이라는 말이 있다.

 

요왈은 논어의 마지막 편으로 논어를 총괄하는 의미로 보인다.

요왈 3장은 논어의 가장 마지막 문장이다.

네이트 AI쳇 이미지 추출

 

공자께서 말씀 하시길

천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으며

예를 알지 못하면

세상에 당당하게 나아가지 못하며

말을 알지 못하면

그 사람의 진면목을 알아챌 수가 없다

 

자왈

부지명이면

무이위군자야요

부지례면

무이립야요

부지언이면

무이지인야니라

 

子曰

(아닐 불) (알 지) (목숨 명)이면

(없을 무) (써 이) (할 위) (임금 군) (아들 자) (어조사 야)

(아닐 불) (알 지) (예도 례)

(없을 무) (써 이) (설 립) (어조사 야)

(아닐 불) (알 지) (말씀 언)이면

(없을 무) (써 이) (알 지) (사람 인) (어조사 야)니라

 

맹자(孟子, 기원전 372 ~ 기원전 289)

중국 전국시대의 유학자로, 본명은 가()로 추나라(鄒國)에서 태어났으며,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제자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사상을 전파하였고, 특히 제나라의 선왕(宣王)과 나눈 대화는 '맹자' 책에 기록되어 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였다.

정치에서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주장하여, 백성들의 이익을 중시하는 정치를 강조하였다.

 

맹자의 천명의 개념

맹자에게 있어 천명은 단순히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이 본래 지니고 있는 선한 본성을 실현하도록 이끄는 도덕적인 원리다. 그는 인간에게는 누구나 선한 마음, 사단(四端)’이라는 것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 사단이 바로 천명을 실현하는 근거라고 보았다.

사단은 인, , , (仁義禮智)를 말하며, 이는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도덕적인 감정과 능력이다.

맹자는 천명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책임을 강조했다. 인간은 하늘이 부여한 도덕적인 능력을 개발하고 실천하여 이상적인 사회를 건설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맹자의 사상은 유교 사상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인간의 도덕성과 사회 이상에 대한 논의의 기반이 되었다.

맹자의 맹모삼천 일화

맹자의 어머니는 아들이 살아가는 환경이 그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아들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일화로, 올바른 교육 환경을 통해 천명을 따르는 사람으로 성장 하도록 노력하는 어머니의 헌신을 보여준다.

 

첫 번째 이사

처음에 맹자의 집은 공동묘지 근처였다. 어린 맹자는 상여를 메고가는 사람들의 흉내를 내며 놀았다. 이를 본 맹자의 어머니는 이곳이 아이를 키우는 곳이 아니라고 염려하여 시장 근처로 이사했다.

 

두 번째 이사

시장에서 맹자가 장사하고 흥정하는 모습을 보고 노는 것을 보자 시끄럽고 복잡한 환경이 학업에 방해가 될까 염려하여 서당 근처로 이사했다.

 

세 번째 이사

마침내 서당 근처에 자리를 잡자 맹자는 학생들의 예절을 흉내내며 학문에 정진하여 후에 성인이 되었다.

뤼튼 이미지 추출

 

제미니 문서 추출

크로바X 문서 추출